음 어지어찌 하다보니 heroku 라는 걸 알게되었는데
무료로 웹서버를 제공해준다니 일단 한번써보자~
라는생각으로 기존에 aws에서 사용하던 maven 개인프로젝트를 heroku로 옴기기로 결심하였다.
소스는 git에 private 하게 관리되고 있었는데 heroku에서 git관련 연동을 잘 해주어서 생각보다 너무편하게
프로젝트 배포까지 마무리되었다.
배포까지 1시간이 안걸린거 같다
처음인관계로 공식홈페이지 에서 튜토리얼을 보며 따라했다.
이미지에서 보듯이 heroku CLI 를 받아서 설치만하면 관련 명령어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MAVEN 프로젝트의 경우 메이븐 플러그인을 빌드할떄 추가해주면 끝!
위에 이미지에 보이는 명령어를 뙇하고 치면 세상에..스스로 메이븐을 빌드해서 배포해버린다..
첨엔 이게뭐지 ...싶어서 그냥 보고있엇는데 정말 배포가 되버린것이다..
그리고나선 커맨드라인에서
HEROKU OPEN 이라고 명령어를 날리면 가동중인 웹서비스가 브라우저에 열린다
첨사용하는거라 튜토리얼을 보고 하고있지만 생각보다 편리하게 구성된것 같다
근데 단점으로 프리티어 기준으로 해당 주소로 접근이 15분동안 없는경우 서버가 내려가게되고
다시 접속할시에는 30초정도 서버 리부트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GIT에 소스만 있다면 편하게 무료료 배포할수 있다는점은 상당히 매력적인것 같다.
토이프로젝트라던지 간단한 예제 같은건 정말 편하게 배포가 가능할것같다.
(AWS 프리티어 기간이 다되어가서 그런건아니다...)
다음번에는 AWS RDS에서 사용되는 DB를 옴겨볼 계획이다.
ps.회사 프로젝트는 svn , jenkins를 사요하는데 서버 옴길떄마다 재설정하기 귀찮아 죽겠는데.
이번기회에 회사도 git으로 바꾸고 travis 를 사용하는것도 좋아보인다.
그리고 heroku도 무료이면서 설정이 간편하니 고민해 볼법하다.
'소소한 개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cess vs Thread 차이점 요약 (0) | 2021.08.05 |
---|---|
점심메뉴 크롤링 및 알림 제작후기.. (1) | 2019.05.13 |
Eclipse에서 Intellij 로 갈아탄 사연.. (1) | 2019.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