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DK가 유료화 되면서 라이센스를 구입하건 말건 일단 현재 회사 프로젝트및 소스가 OPENJDK 환경에서
정상동작하는지 알고싶어졋다..
시작전에 openjdk와 oraclejdk 의 차이점이 알고싶었는데 정리잘된글이 있어서
링크로 첨부.
위글을 읽은후 차이점을 기억해두고 작업시작!
우선 로컬 테스트부터
개인용 데스크탑(WINDOW) 에 사용될 OPENJDK8 버전을 찾기 시작했는데..공식 사이트에서는 https://openjdk.java.net
WINDOW용 JDK를 찾지 못하고 이리 저리 찾아보다 REDHAT 재단에서 openjdk8 버전을 zip파일로 제공하는것을 발견하고..
회원가입후 openjdk8 버전을 다운받게된다.
zip 으로 만들어진 압축파일을 받고 압축을 푼후 환경변수 를 우선 잡아주고..
PATH 를잡아주고 재부팅해서 버전확인을 해보니 아래처럼 레드햇계열 openjdk로 설정되었다고 뜬다.
이제 이제 이클립스에 가서 jdk경로만 새로잡아주고 tomcat도 jre 경로를 바꿔주기만 하면 정상적으로 될텐데 생각하고 계속진행 한다..
우선 build부터 변경
그다음 tomcat jre 변경
이렇게만하고 프로젝트 리빌딩 했더니..
잘된다..
기존에 스케쥴도 정상적으로 돌고 잘되는거같은데 당분간은 테스트 예정이다..
로컬 적용이 잘되면 외부에 있는 테스트서버의 jdk도 바꾸어서 다시 테스트 해볼 예정이다..
결론..
jdk8 --> openjdk8 (redhat) 변경해도 잘된다.!!
'java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FUL API 개발 사전준비 (0) | 2019.11.24 |
---|---|
spring + vue.js (0) | 2018.12.21 |
jenkins 설치및 필수 플러그인 설치 (0) | 2018.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