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 적용법은 아니고..
vue를 jstl 개념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신규 프로젝트 작업을하는중인데..
아직 퍼블리셔가 없는관계로 table을 jstl사용하지 않고 뿌려야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script로 html = "<tr>"
+= "<td></td>
+="</tr>"
위처럼하고 데이터 포문돌리다 암걸릴것 같아서
뷰에 데이터 넣고 v-for로 처리하니 너무편하다 ㅠㅠ
야메 적용법이지만 퍼블리셔들은 jstl 코드 모르니 pure한 html을 보여주고 싶다면
한번 써볼만하다
간단한 코드예시
new Vue({
el: "#targetSelector",
data: {
list : [] ,
},
mounted: function () {
var self = this;
//ajax 로 데이터 가져와서 vue의 list 데이터에 던져준다.
var returnObj = ajaxcall();
self.list = returnObj;
}
)}
위코드는 페이지 세팅후에 list라는 객체에
ajax로 가져온 데이터를 마운트 해주는 코드이다.
저렇게 데이터가 마운트 되어있으면...
그담은 그냥 vue사용하는 방식으로 처리하면 끄읏~
<tr v-for="item in list">
<td>{{item.컬럼이름}}</td>
</tr>
위처럼 그냥 사용하면 된다..
해보니 겁나편하다.
아직 datagrid 없고 데이터를 script로 만들어쓰는중이면 vue를이용해서 뿌려주면 상당히 편히하고 코드 가독성도 많이 올라가는것 같다.
'java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FUL API 개발 사전준비 (0) | 2019.11.24 |
---|---|
jenkins 설치및 필수 플러그인 설치 (0) | 2018.11.29 |
jdk 유료화에따른 openjdk 테스트 (0) | 2018.11.21 |